웨이브 코인

새벽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하던 웨이브 코인이 고점에서 여러 개의 도지캔들을 형성했다. 이 과정에서 거래량이 계속해서 줄지 않고 동반이 되어서 하락 반전이 될 것 같다는 예상을 했다. 장대 음봉이 터진 것을 확인한 후에 다음 봉에서 숏 진입을 했다.
2차 숏 진입의 근거는 위 근거와 비슷하다. 여기에 더해 2차 진입 캔들을 보면 긴 위꼬리를 그리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, 매수를 누가 계속 받아서 하락을 유지하려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아서 2차 숏 진입을 했다.
필자는 20배 고배 레버리지를 사용하기 때문에, 길게 포지션을 가져가지 않으려고 한다. 그리고 알트 숏은 웬만하면 더 짧게 가져간다. 개 무섭기 때문.
비트코인


왼쪽 사진은 아침 9시에 롱 진입한 사진이다. 참고로 5분봉 차트이다. 이번 롱 진입은 반성할 점이 더 많다. 그냥 코인 댕 못하는 사람의 진입이었다. 진입 근거가.... 없다. 단지, 우하향하는 추세선을 맞고 너무 많이 떨어진 것 같다 정도이다. 거래량이 동반된 것도 아니다.
IF? 롱 진입 후 물렸다면, 아래 노란색 지지/저항선에서 물을 한번 타고, 그 지지/저항선이 뚫렸다면 빠르게 손절이 나갔어야 할 것 같다.
오른쪽 사진은 저녁 9시 반에 숏으로 짧게 먹고 나온 차트이다. 근거는 별거 없다. 3월 CPI 지수 발표였는데, 예상치와 별로 차이가 없는데, 쭉 올리길래 다시 내리겠다 싶어서 시장가로 숏 진입했다. 이미 전날 저녁 ~ 새벽에 쭉 조정을 주면서 선 반영 한 것도 판단의 근거에 한 몫 했다.
솔라나 코인


왼쫀 사진에서 첫 번째 롱 진입의 근거는 두 가지 있었다. 첫 번째는 우하향하는 노란색 추세선을 돌파한 후에 다시 추세선을 리테스트하러 왔고, 리테스트 할 때 다시 양봉으로 쭉 올린 후에 망치형 캔들로 다시 한번 버티는 모습을 보여서 ' 아 이건 올리는 것 같다 ' 라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. 또한 빨간색으로 그린 저점이 이전 대비 많이 올라와 있어서 추세적으로 올리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다는 생각도 했다. 그러나 다음 캔들에서도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여서 빠르게 포지션을 정리했다.
왼쪽 사진에서 두 번째 롱 진입 거래량이 터진 장대 음봉 이후에 도지 캔들이 떠 있기 때문에 들어갔다. 사실 도지 캔들이 15분 봉에서 형성이 된 것도 아니었지만, RSI가 이전 저점 대비 많이 올라와 있어서 좀 더 확신을 가지고 진입을 했다.
오른쪽 숏 진입은 기본적인 매매 기법을 이용했다. 쭉 올리다가 거래량 가장 많이 터지고 캔들의 길이도 가장 길어서 의심의 여지 없이 숏 진입 했다. 기본적으로 필자는 짧게 먹고 나오자 ( 욕심 부리지 말고 조금씩 먹자 ) 라는 모토를 가지고 매매에 임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 봉에서 쭉 뺄 때 포지션을 정리했다.
엑시 인피니티

위 차트는 엑시인피니티 15분봉 2시 30분 경 차트이다. 위 솔라나 코인 숏 진입 시와 같은 원리이다. 상승을 지속하다가 거래량이 가자 많이 터졌고 ( 여기서 숏 들어가도 상관없다 ), 다음 캔들이 거래량을 동반한 도지 캔들 ( 여기서 숏 들어가도 좋다 )이 생겼다. 필자는 좀 확실하게 하고 싶어서인지 차트를 이 때 못 봐서 인지는 모르겠지만, 다음 음봉이 쭉 떨어지는 것을 보고 숏 진입을 했다.
시작 금액 : 574.0900
마감 금액 : 589.9100
오늘 수익률 : 2.76%
누적 수익률 : 19.84%
'💸 > 코인일지 | 100만원 만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4월 14일] 나스닥의 똘마니 김비트 | 엑시 인피니티 지지/저항선 | GMT 유동성 너무 달아~ (0) | 2022.04.16 |
---|---|
[4월 13일] 나스닥과 커플링 심하게 된 비트코인 | 니어 프로토콜 | 웨이브 손절 | 솔라나 | 상승 쐐기, 하락 쐐기형 차트 (0) | 2022.04.16 |
[4월 11일] 42.5K 기다렸다 김비트 | 솔라나 코인 | 루나 코인 | 카이버 네트워크 미친 변동성 달달하다 (1) | 2022.04.12 |
[4월 8일] 니어 프로토콜에 미친 날 | 무근본 매매 투성이 | 웨이브 코인 | (0) | 2022.04.12 |
[4월 7일] 이더리움 클래식 | 루나 코인 (0) | 2022.04.11 |